본문 바로가기

eat

위해 식품 회수 절차

728x90

근래 위해 식품 회수로 회수된 제품 중 크게 잇슈가 된 음식이 순대일 것이다. 정확히 위해 식품의 회수란 무엇일까? 정보를 찾아보니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안내되어 있는 바 식품위생상의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식품이 더 이상 유동, 판매, 사용되지 않도록 거두어들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회수의 정류는 의무 회수와 자율 회수 2가지로 나뉘어 지고, 의무 회수는 단어의 의미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영업자가 반드시 회수, 폐기를 해야 하는 경우이고, 자율 회수는 위생상 위해 우려가 의심되거나 품질 결함 등의 이유로 영업자가 스스로 실시하는 횟수이다. 

 

▼위해 식품 회수 절차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1. 회수 결정
  2. 회수 실시
  3. 회수 검증
  4. 시정 및 예방

회수 결정은 검사기관에서 위반사항이 적발된 식품 등 회수 필요성이 있는 식품 등을 식약처 등 관련 기관에 통보한다. 그 이후 회수명령 기관은 회수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 회수 대상을 분류하게 되고 영업자에게 회수 개시 등 회수 명령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회수 실행은 영업자가 회수명령을 받고 회수를 개시하게 되고, 회수 식품 정보 공개는 식약처와 행정기관 등에서 하며, 회수 사실 및 반품 방법을 알리고 회수 식품 정보를 공유하는 일은 영업자가 하게 된다. 영업자는 회수를 하고 난 후 회수 계획서를 작성하여 회수명령 기관에 제출하게 된다. 이후 회수명령 기관은 계획서를 검토하고 영업자의 회수 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위해 식품 회수는 일어나선 안 되겠지만, 사람의 욕심과 욕망은 또 같은 일을 만들어 낼 것이다. 조금 더 싸게 조금 더 편하게 조금 더 빠르게 등과 같은 마음이 사라지지 않는 한 이따금씩 문제는 일어날 것이다. 하지만 세상이 조금 더 그것을 관찰하고 주시하게 된다면 조금 덜 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