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at

곱창김과 돌김 그리고 김밥김의 차이

728x90

▼곱창김▼

  • 원초가 길고 구불구불해서 곱창김이라고 불리우며 또는 잇바디돌김이라도고 불리운다.
  • 10월과 11월 사이에 햇김을 수확한 후 건조한 김이다. (20~25일 정도만 난다.)
  • 전남 무안군 도리포에서는 잇바디돌김만을 생산한다. (다른지역이 1~2회 채취하는 것이 비해 도리포는 5~6회정도 체취한다.)
  • 단맛, 신맛, 감칠맛, 쓴맛, 짭조름한 맛이 존재한다. 
  • 곱창김의 경우 구워 먹거나 생으로 먹는것이 좋다. 

▼돌김▼ 

  • 바닷가의 바위나 돌에 붙어 있는 김을 채취해 만드는 김이다. (대부분 자연산임)
  • 모무늬돌김이라고 불리운다. 
  • 재래김보다 가격이 높다고 한다.
  • 표면이 거칠고 씹는 맛이 좋다.
  • 단맛, 감칠감이 있다.
  • 기름을 발라서 구워 먹는 것이 가장 맛있다. 

▼김밥김▼

  • 참김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지만 방사무늬돌김이라고도 일컫는다.
  • 얇고 부드럽다. 
  • 방사무늬김은 12월~5월까지 채취한다. 
  • 김밥김의 경우 파래가 섞여 있을 경우 맛이 더욱 좋다. 
  • 다른 김보다 질긴편이다. 
  • 표면이 매끄럽고 여백 없이 촘촘하기 때문에 김부각으로도 활용도가 좋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