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life

대한민국에서 사랑받는 소형견 견종 Part. 1 (몰티즈, 포메라니안, 푸들)

728x90

▼몰티즈▼ 

몰티즈는 몰타섬이 고향으로 알려진 소형견이며 자연 발생한 아주 오래된 고대 품종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키우는 반려견으로 인기있는 소형견이다. 

 

몰티즈의 성경은 활발한 성격과 더불어 자기표현이 뚜렷한편이며 사람을 잘 따른다고 한다. 눈치가 빠르고 주인의 마음에 민감하게 감지하고 반응하기때문에 주인과의 교감도 굉장이 잘 이루어지는 견종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자기표현이 뚜렷하기 때문에 고집이 강할 수 있고, 자기 방어 본능이 높을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다른 견종에 대해 경계심이나 질투심 또는 공격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몰티즈의 털은 가늘고 기름진 긴털이라 엉키기가 쉽고 관리하기가 번거롭다고 한다. (브러쉬질과 목용 필수) 특히 눈 주위에 나타나는 갈색의 눈물자국은 매우 꾸준히 관리해 줘야 하는 부분이다. 

 

몰티즈의 유전적 질환으로 대표되는 것은 갈색으로 물드는 유루증과 슬개골이 어긋나는 슬개골 탈구증, 심장 내 판막의 이상이 생기는 이첨판 폐쇄 부전이 있다. 

▼푸들▼ 

푸들은 '물에서 첨벙거리다'라는 독일어의 푸들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물가에서 새를 사냥할 때 사냥을 돕던 수렵견으로 사냥개의 혈통이다. 

 

푸들의 털갂이는 물에서 수영할 때 걸리적 거리는 관절 부분은 짧게 체온 보존을 위해 가슴과 배 부분의 털을 최대한 부풀리는 것이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푸들은 충성심이 좋고 매우 열리하며 훈련과 학습에 용이하다고 한다. (학습 능력은 강아지 견종 중 TOP3 안에 든다고 한다.) 더불어 생각보다 털이 잘 빠지지 않는 견종이라 한국에서 인기있는 소형견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푸들은 인간과의 상호작용 발달된 견종이라 보호자의 성격이나 훈련의 정도, 양육환경에 따라 다양한 성격이 발현되는 견종이라고 한다. 대체적으로 천사견이 많은 품종이며 인간을 향한 공격성이 적으며 감정 파악이 빠른편에 속한다. 

 

푸들의 유전적 질환으로는 실명하게 되는 망막 위축증, 대퇴골 부위에 혈액 공급 이상으로 생기는 고관절 허혈성 괴사증, 고관절의 심한 염증이 있는데 갑자기 뒷다리를 절기 시작하거나 갑자기 야간의 시야가 어두워진듯 하다면 갑작스레 병이 진행되었을 수 있음으로 병원을 필히 찾아야 한다고 한다. 

▼포메라니안▼

포메라니안 북쪽 지방에서 썰매를 끌던 스피츠와 사모예드의 개량종으로 소형화한 품종이다.  

 

포메라니안은 귀여운 생김새와 다르게 썰매를 끌며 야생동물과 싸우던 용맹함이 내재 되어 있어 예민한 편이며 상대적으로 다혈질에 야생성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사나운 경우도 있다고 한다. 포메라니안 품종이 사람의 반려견이 된지 얼마되지 않았기에 정서적 교감이 어려운 품종이며 광장히 독립적이라고 한다. (주인과의 애착정도 및 의존도가 다른 견종에 비해 최하위 등급에 속할 정도임) 더불어 경계심이 많아 매우 잘 짖기 때문에 이점을 유의해야 한다. 

 

포메라니안은 모량이 아주 풍성한 이중모를 가지고 있으나 한 번 밀면 빽빽하게 기르는데 3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으로 미용을 할 때 그점을 고려한 뒤 정해야 한다. 장모상태로 유지할 경우 털이 매우 많이 빠지는 품종으로 거의 고양이 수준으로 털빠짐이 일어난다고 생각해야 한다. 

 

포메라니안의 유전적 질환은 근친으로 개량된 품종이라 매우 다양한 편이라고 한다. 슬개골 탈구, 고관절 이형성, 수컷의 경우 고환이 잠복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며 선천적으로 기관기 협착증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이빨이나 뼈조직 관절 조직이 약한편이라고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