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life

국가 건강검진 결과지 보는 방법 part.2

728x90

공복은 어떤 검사에 필요한 것일까? 굶는 것을 안하던 사람이 굶으면 진짜 매우 힘들다. 상상을 초월한다랄까. 근데 예전에 햄버거 알바를 하게 되면 2년 후부터 1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으러 가야 할 때가 있는데 그때도 공복을 요청하였으나, 같이 일하던 친구는 물도 마시고 밥도 먹고 갔는데 아무런 제제가 없었다고 했다. 나는 그때 뭔가에 뒤통수 맞은 거 같은 느낌을 크게 받았다. 과연 어떤 것이 공복을 꼭 해야 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 찾아 보았다.

국가 건강검진에서 꼭 공복이 필요한 항목 

공복혈당
중성지방 = 트릴글리세라이드 

 

공복혈당의 경우 말 그대로 공복 상태에서 혈당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 해야 하기때문에 공복을 유지해야 한다. 중성지방의 경우 몇 시간 공복했느냐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항목이기 때문에 12~14시간 공복 후 아침에 채혈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국가 건강검진 검사항목 이상지질혈증의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 나쁜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 좋은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대표적 음식은 동물성 지방이며 음주와 과식, 탄수화물의 섭취가 충성지방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HDL콜레스테롤을 높이기 위해선 금연과 운동을 해야 한다.  

국가 건강검진 검사항목 

음주를 많이 할 경우 감마지티피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다른 가능성으론 비만에 의해 간기능 수치가 놓아질 수 있으나, 비만의 경우에는 ALT가 조금 더 도드라져 나타난다. 두개의 경우가 아닌데도 높을 경우는 최근 먹는 약이 있는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일시적으로 올라간 상태인지도 확인해봐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