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life

장염이 걸리는 이유와 예방법

728x90

장염이 걸리는 배가 미친듯이 아프고 장이 튀틀린 느낌이 들어 막상 화장실에 가면 나오는건 거의 없는 상황은 누구나 겪어 보았을 것이다. 감기 다음으로 흔히 걸리는 질병 중 하나이니 걸리지 않은 사람을 찾는 게 더 어려울 것이다. 미국에선 장염을 장에 걸리는 감기로 표현했으니 그만큼 흔하디 흔한 것이다. 

 

장염의 급성 위장염이라고 보면 된다. 장염이 딱 장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급성 위장염이라고 일켣는다고 한다. 만약 감염된 부위가 대장까지라면 감영성 대장염이라 부르는 용어가 다르다고 한다.

 

▼장염이 걸리는 이유▼ 

  • 면연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균이 들어오게 될 경우
  • 피로가 누적된 상태로 균이 들어오게 될 경우
  • 제대로 된 숙면을 취하지 못한 상태로 균이 들어오게 될 경우 

 

  • 여름 장염의 경우 : 음식 섭취 후 6시간 이내 빠르게 발병
  • 겨울 장염의 경우 : 음식 섭취 후 12 ~ 48시간 잠복 후 발병, 사람간의 접촉, 침, 구토물, 분변을 통해 전염 됨

 

장연 바이러스로 대표적인 바이러스가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이다. 예전에는 로타 바이러스로 인한 장염이 훨씬 많았으나 로타의 경우 백신이 있어 그 빈도가 줄어들었어 현재에는 노로바이러스로 장염에 걸리는 사람이 많아졌다.

 

장염은 배탈, 위경련, 급체, 식중독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콕 찝어서 어떤 이유로 장염에 걸리고 그 증상이 구별되는지 말하기 애매하고 모호하다고 한다. 원인이 무엇이든 어차피 장염에 걸릴 경우 금식을 해야 하고 심하다면 수액을 맞아야 하는 건 동일하기 때문이다. 

 

  • 장염 증상 : 구토, 복통, 열, 식욕부진, 설사  

 

장염의 증상 중 구토는 어른들보다 아이들에게 흔히 보이는데 소아 장염은 심할 경우 열흘까지도 갈 수 있음으로 조금 나아졌다고 방심하면 안된다고 한다. 

 

장염 치료의 가장 중요한 것이 금식과 수분 보충이라고 한다. 

 

금식의 경우 24시간~ 48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으나 소아의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수분 보충으로는 미지근한 보리차 또는 이온음료를 마셔 전해질+당+수분을 적절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온음료의 경우 당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너무 많이는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 장염의 회복 기간 중 섭취하지 말아야 할 음식 : 술, 매운 거, 단 거, 기름진 거, 우유로 만든 거, 식이섬유 

▼장염 예방 방법▼ 

  • 화장실 갔다와서 손 씻기 
  • 음식을 조리하기 전, 후 손 씻기
  • 굴과 같은 어패류는 70도에서 5분 100도에선 1분 가량 익혀 먹기
  • 차가운 물보단 끓여 식혀 먹기  
  • 음식 보관이 잘못 되었다면 바로 폐기하기 

주관적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 

728x90